본문 바로가기

나와 주변 사람들 이야기

코로나 블루이기는 법

반응형

 

생일케익

코로나를 이기는 법을 이야기 전에 한 일상 글로 시작하고자 한다. 딸 생일이라서 며칠 전에 예약했던 케이크를 가지러 20분 거리에 있는 가게에 갔다. 날씨는 비가 많이 온 상태였다.

빵가게 가서 예약했던 케이크와 빵 몇 개를 사서 한 손에는 우산을 들고 한 손에는 케이크와 빵 몇 개를 담은 봉지를 들고  오다가 야채가게에 가서 야채를 여러 종류를 사고서 집에 오는데 거의 다 왔을 즈음에 케이크가 보이지 않았다.

나는 비가 많이 오는 상황에서 핸드폰과 카드 영수증을 꺼내서 야채가게에 전화를 걸어 다급한 목소리로 물었다.

"혹시 케익이 있지 않나요? 그곳에 놔둔 것 같은데요? "

주인은 

"예 있어요. 잘 놔두었어요. "

하고 말했다. 집에 거의 도착한 상황이어서 대문 안에 야채와 빵 몇 개 놔두고 안도의

한숨을 쉬고 다시 10분 정도 거리를 걸어서 육교를 지나서 케이크를 가지러 갔다.

 

다행히도 케익은 잘 보관되어 있어 찾아서 한 손에는 케이크

한 손에는 우산을 들고 집으로 왔다.

오면서 나는 깨달았다. 어떤 상황에서 자신이 감당할 정도로만 일이나

어떤 일을 추진해야 한다는 걸 알았다. 

그 상황에서 자신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일을 하거나 신경을 쓰다 보면 정작 중요한 본질을

놓칠 수도 있다는 것을...

그 환경에 자신이 감당할 정도만 일을 하고 나아가자.  나의 다짐이다. 나는 내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나 자신이 지금 현재 여러 가지 것을 신경 쓰고 배우느라 정신이 없는 자신을 발견했다.

삶을 다시 세팅해야 한다. 삶의 우선순위 정해서 1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지 않도록 말이다.

외로움을 이겨내기 위해서 나는 오늘도 나 자신과 싸운다.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도 하고 싶고

식사도 하고 히히 하하 웃으면서 살고 싶은데 단절돼서 사니 말이다. 

외로움이 은혜일 때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을 들여다 보고 자기 계발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으니 말이다.

긍정적으로 해석해본다. 맘이 우울해지지 않기 위해서다.

나는 요즘 "무엇이 나를 만드는가?" 이 문장을 계속 나에게 던져본다. 

무엇을 찾기 위해서 맘의 돋보기로 여기저기서 찾고 있다. 무엇은 나를 성장시키고 아름답게

변화시키고 더 나은 내면세계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무엇은 책도 되고 유튜브 강의도 되고

드라마, 영화도 해당하고 인간관계도 해당한다.

생일이 있듯이 내 맘속에서도 새롭게 태어났으면 한다. 

아름다운 사람을 만나고 싶다 시 (롱펠로우)

그 내용처럼 아름다운 사람이 되어 사람들이 나를 찾아줬으면 좋겠다. 내면이 아름다운 사람!!!

나 또한 아름다운 사람을 만나고 싶다. 

외로움, 단절, 우울 속에  있는 사람들이 코로나 블루 속에서도 사람들이 잘 버텨주길 바란다

나는 열심히 배우고 익힘으로 자기 계발을 위해서 열정을 쏟음으로 이 코로나 블루를 이기고 있다.

코로나 블루 이기는 법으로 1. 운동을 합니다. (햇빛 보며 하루 10분이라도 걷기)

                               

2.스스로 칭찬을 많이 합니다. (나의 외모, 나의 마음 씀씀이, 잘했던 나의 모습)

                         

 3.감사일기를 쓰거나 감사한 일을 떠올립니다.

                           

(건강주셔 감사합니다. 유튜브 볼 수 있어 감사해요)

                         

4. 글로 다른 사람과 소통합니다. 예로 블로그 댓글 달기, 공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5. 자기 계발을 위한 책 읽기, 키우고 싶은 소양의 유튜브 보고

                         

자신을 새롭게 하기입니다.
                       

 6. 귀여운 어린이 사진이나 영상 보면서 웃음이 나오게 합니다.

                         

( 아이 귀여워!) 스마일
                       

 7. 주변에 가족에게 포옹을 하거나 가벼운 이마에 입맞춤을 하면서

                     

 "너를 볼 수 있어서 너무나도 나는 행복하단다." 말을 합니다.




 

 

 

 

 

 

 

 

반응형